직장인 코칭
홀로서기 샐러리맨 위한 직장인 멘토
린나이 서비스센터 가기 전 셀프 수리 방법

린나이 서비스센터 홈페이지는 인터넷 검색창에 린나이 서비스센터라고 치면 바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아래 그림과 같이 서비스센터 홈페이지를 들어 갈 수 있습니다.

서비스센터 위치는 홈페이지에서 고객지원을 클릭 하세요

 

고객지원을 클릭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서비스센터 찾기가 나옵니다.

 

 

린나이 서비스센터는 평일 오전 9시에서 오후 6시 까지 근무합니다.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은 전화가 안 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에 위치한 서비스센터를 알아 보겠습니다.

강남CS센터와  강서CS센터가 있는데요

 

 

 

강남CS센터는 9호선 석촌고분역 1번 출구에 있습니다.

 

강서CS센터는 망원역에 있는데 거리가 좀 떨어져 있습니다. 성제빌딩에 위치 하고 있습니다.

네비를 찍고 오실 분은 성제빌딩을 찍고 오시고요

지하철로 오실 분은 6호선 망원역 1번출구에서 6분 정도 걸어야 해요

 

AS 전화번호는 국번없이 1544-3651 입니다.

직영점 아닐 경우 부품가격을 부풀리는 악덕 상인도 있을 수 있으므로 

아래 린나이 공식쇼핑몰에서 부품 가격을 확인 해보세요

 

순정부품만 사용하셔야 해요

이전에 쓴 글에서 소개 드렸듯이 중고 보일러를 회수하는 이유는 그 중 쓸만한 부품을 유통시키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더 기가 막힌 것은 정품 박스에 중고부품을 넣어 정품 가격을 받는 경우가 있다는 것입니다.

정품 박스가 뜯겨져 있다면 절대로 수리에 응하지 마시고 돌려 보내세요

테스트 해보고 와서 뜯어 진거라며 말해도 믿지 마세요.

어디다 테스트 한다는 건지, 본인 집에 가서 멀쩡한 부품을 떼었다가 부품을 붙이고 가동시켜 본 후 다시 가져 왔다는 건지 말이 안되잖아요.    돈에 욕심이 멀어 선량한 기술자까지 욕을 먹게 하는 그런 분들 때문에 세상이 각박해지네요

 

 

주요 증상과 에러코드에 대해 설명 드립니다.

온수쪽에 물이 한방울도 안나온다 이러면 급수밸브가 열려 있는지 확인하세요

겨울철에 얼어서 안나오거나, 다른 수도꼭지에서도 물이 안 나오는지 확인 해보시고요

온도조절기에 전원이 안 들어 오는 경우는 전원코드를 뺏다가 다시 꽃아 보세요

그래도 안 되면 그 콘센트에 헤어드라이기를 꽂아 동작되는지 확인 해보세요

콘센트에 전기 공급이 이상 없다면 조절기 부품에 문제가 생긴 것 이므로 서비스센터에 전화 해야 합니다.

보일러를 껐는데도 소음이 나는 경우는 가까운 설비업체를 불러도 점검 받을 수 있습니다.

합선이나 경보기에 문제가 있을 수 있거든요

보일러를 켜면 소음이 나는 경우는 부품이나 배관의 문제일 수 있어 서비스센터에 전화 해야 합니다.

 

온수만 설정한 상태인데 방이 따뜻해진다면 난방버튼이 켜져 있는것은 아닌지 확인하세요

 

온수가 뜨겁게 나오지 않는다면 온수온도를 높여 주세요, 그래도 안 된다면 서비스센터를 불러 주세요

 

에러코드 12가 뜬다면 가스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가스렌지를 켜봐서 가스렌지도 켜지지 않는다면 가스 밸브가 열려 있는지 확인 하세요

가스밸브는 열려 있는데 불이 강하게 들어 오지 않는다면 가스 배관에 누수가 있는지 확인 해야 하므로 가스공급업체에 전화를 하세요

 

 

에러코드 11이 깜박인다면 가스 중간 밸브가 열려 있는지 확인 후 난방을 끄고 다시 켜서 작동되는지 확인 하세요

동일 증상이 반복되면 고객센터 1544-3651로 연락해야 합니다.

 

 

이상 린나이 서비스센터 위치와 찾는 방법 그리고 주요 에러코드와 조치 방법에 대해 알아 봤습니다.

다음엔 겨울철 동파 방지를 위해 알아야할 꿀팁에 대해 소개 하겠습니다.

 

 

 

 

  Comments,     Trackbacks